안녕하세요 Jay.D입니다.

오늘은 버섯목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버섯목증후군은 간단히 말하자면 거북목 체형이 방치되어 척추뼈 위치에 변형이 만들어지고 그 공간에 지방이 쌓여 목뒤에 버섯이 자라는 모습처럼 보이는 질환을버섯목증후군이라고 합니다. 버펄로 외형과 비슷하여 버펄로증후군이라고도 불립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버섯목증후군에 대해 알아보자
거북목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봤고 익숙하신 분들이 많겠지만 버섯목증후군은 생소한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정의
버섯목증후군을 간단히 정의 내리자면 경추(목뼈) 하부 C7(7번 목뼈)가 눌리고 목 뒤 연부조직이 비대해져 돌출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위치
경추하부(목뼈 아랫부분)와 흉추 상부(등뼈 윗부분) C7/T1
C7(7번 목뼈)의 중심부가 돌출되고 T1(1번 등뼈)와도 연관이 있다. 때문에 외형적으로 목 뒤가 짧아지고 버섯처럼 둥글게 튀어나온 형태가 된다.
.
원인
목 뒤에 버섯이 자라는듯한 이런 외형이 생기는 원인으로는 가장 일반적으로 거북목을 방치하는 경우가 있고 장시간 고개를 내밀고 있어야 하는 경우(사무직이나 스마트폰 사용), 후경부 근육들(목뒤 근육들)의 경직
연관 증상
버섯목증후군의 증상으로는 뒷목 부위에 압통이 느껴지는 것뿐만 아니라 눈의 피로와 두통까지 유발된다.
버섯목 교정에 도움 되는 운동
버섯목증후군이나 거북목 증후군의 경우 강화 시켜야 하는 근육들은 목 심부근육과 능형근, 하부승모근, 전거근입니다.
위 근육들을 한 번에 사용하는 운동인 월엔젤이라는 운동을 추천드립니다.
1. 벽에 한발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여 등을 기대고 만세상태로 팔꿈치와 어깨를 90도로 구부려주세요(허리는 벽에서 3cm 정도 떨어지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너무 심하게 뜨는 것만 주의해 주세요)
2. 위사진과 같이 아래팔(손목에서 팔꿈치까지)이 지면과 수직인 상태를 유지하며 손끝을 천장으로 보낸다는 느낌으로 천천히 올렸다 내렸다를 반복해 주세요 20개씩 5세트 정도 수행해 주세요^^
(손등과 팔이 벽에서 떨어지지 않게 주의해 주세요.)
월에인절 동작은 목 주변근육의 긴장도를 떨어트리고 하부승모근과 견갑 주변근육을 활성시켜 준다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버섯목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은'건강운동관리사를 위한 운동 상해'책을 참고하였습니다.
그럼 Jay.D였습니다. 감사합이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