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Jay.D입니다.

극상근건염은 어깨 통증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입니다. 팔을 들거나 돌릴 때 통증이 심해지고, 일상생활에서도 불편을 겪게 되는 이 질환은 특히 잦은 팔 사용, 잘못된 자세, 나이 증가로 인해 발생합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극상근이란?
극상근은 어깨 회전근개(rotator cuff) 중 하나로, 견갑골(어깨뼈) 위쪽에 위치하여 팔을 들어 올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에 과도한 사용이나 반복적인 움직임이 가해지면 염증이 생기고, 이를 극상근건염이라고 합니다.
극상근건염의 주요 증상
- 팔을 옆으로 들 때 통증
- 어깨를 뒤로 돌리기 어려움
- 밤에 심해지는 통증, 특히 한쪽으로 누울 때
- 특정 각도에서의 운동 제한
- 어깨에서 “딱딱” 소리
병인
- 반복적인 팔 사용: 스포츠(야구, 테니스), 육아, 사무 작업 등
- 노화: 힘줄이 약해지며 염증에 취약해짐
- 자세 불균형: 구부정한 자세, 거북목
- 외상 또는 충격
진단 방법
- 의사의 문진 및 이학적 검사
- MRI, 초음파, X-ray 등을 통한 영상 진단
- 주변 구조물과의 감별이 중요 (오십견, 석회성건염 등)
- Cozen test/Empy cantest와 같은 이학적 검사
1. 바르게 선 상태애서 환측 팔을 30도 정도 옆으로 벌려엄지손가락이 바닥을 향하게 팔을 내회전 해주세요
2. 검사자는 사진과 같이 아래방향으로 팔에 적당한 부하를 주고 피검자는 버텨주세요
3. 이때 버티지 못하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 혹은 두 가지 경우 모두 해당될 경우 양성으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
1. 보존적 치료
- 휴식 및 어깨 사용 제한
- 냉찜질/온찜질
- 물리치료: 전기자극, 초음파 치료 등
2. 주사 치료
- 스테로이드 주사로 염증 완화
- 반복적인 사용은 부작용 유의 필요
3. 수술적 치료 (심할 경우)
- 관절경을 통한 힘줄 봉합
- 충돌 증후군이 동반된 경우엔 제거술도 시행
오늘은 극상근건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극상근건염은 만성 어깨 통증 중 가장 흔한 질환이기에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ㅎㅎ
이 글은'건강운동관리사를 위한 운동상해'라는 책을 참고하였습니다.
그럼 Jay.D였습니다.

728x90
반응형